코드잇 Codeit/Front-End

코드잇 웹 퍼블리싱 - ① 웹 퍼블리싱 시작하기

꼽파 2023. 5. 5. 22:46


  • 1. 수업소개

  • 2. HTML 시작하기

  • 3. CSS 시작하기

  • 4. 완성하기

  • 5. 꿀팁

  • 1. 수업 소개

    • 프로그래밍 언어 : 컴퓨터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하는 언어

      HTML, CSS = 웹사이트를 만드는 프로그래밍 언어

    - HTML : 웹사이트에 들어갈 내용을 담당

    - CSS : 웹사이트에 들어갈 스타일을 담당

    • 소스 코드(코드)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한 내용

    • 코딩 한다 :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드를 작성한다

     

    vsCode 실행 후 입력

     

    html 파일 웹사이트 런칭하기

    https://www.netlify.com/

     

    Develop and deploy websites and apps in record time | Netlify

    Accelerate the time to deploy your websites and apps. Bring your integrations and APIs together on one powerful serverless platform. Get started for free!

    www.netlify.com


    2. HTML 시작하기

    <!DOCTYPE html>
    <html>
        <head><!-- 페이지에 대한 정보, 화면에 보이지 X -->
            <title> Weekly Codeit </title>
        </head>
        <body><!-- 페이지에 대한 정보, 화면에 보임 O -->
            안녕 HTML!
        </body>
    </html>

    <!-- 들여쓰기 :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

    Tab : 한번에 들여쓰기

    Shift + Tab : 한번에 들여쓰기가 줄어듦

    들여쓰기는 화면에 반영되지 않음


    인코딩(Encoding) : 어떤 숫자가 어떤 문자에 해당하는지 정해 놓은 규칙

    인코딩이 달라서 어떤 브라우저에서는 한글이 깨져 보일 수 있음.

    모든 브라우저에서 같은 인코딩을 사용하도록 하기

    <!DOCTYPE html>
    <html>
        <head><!--페이지에 대한 정보, 화면 안에 안 보임-->
            <title> Weekly Codeit </title>
            <meta charset="utf-8">
            <!--HTML 문서가 어떤 문자 인코딩 방식으로 작성되었는지 브라우저에게 알리는 태그-->
        </head>
        <body>
            안녕 HTML!
        </body>
    </html>

    페이지마자 작은 제목이 붙어 있음

    제목 + 본문 이런 구성

    <!DOCTYPE html>
    <html>
        <head>
            <title> Weekly Codeit </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1~h6까지 숫자 작을수록 글자가 큼 -->
            <h1>Weekly Codeit</h1>
            <h2>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h2>머신 러닝을 통한 추천 시스템 (내용 기반, 협업 필터링)</h2>
            <h2>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h2>코둥이 퀴즈</h2>
        </body>
    </html>


    웹 브라우저 크기가 변할 수 있어서 아무것도 지정하지 않으면 문단 구분이 되지 않음.

    단락 구분을 위해 <p>태그를 입력 (paragraph)

    <!DOCTYPE html>
    <html>
        <head>
            <title> Weekly Codeit </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1>Weekly Codeit</h1>
            <h2>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p>
                생각만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꿈 같은 이야기죠? 하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랍니다. 마우스
                대신에 유닉스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복잡한 일도 한 번에
                뚝딱하거든요.
            </p>
            <p>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작업 효율성을
                UP! UP! 시켜주는 꿀팁 몇 가지를 준비해봤으니까, 한 번
                살펴보세요.
            </p>
            <h2>머신 러닝을 통한 추천 시스템 (내용 기반, 협업 필터링)</h2>
            <p>
                넷플릭스나 애플 뮤직은 어떻게 영화나 음악을 추천해주는 걸까요?
                일단 추천 시스템이란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 구매할 만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
            <p>
                내가 평소에 쓰는 서비스들은 이미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놀랍죠?)
                유저 별로 아마존이나 쿠팡에서 물건들을, 넷플릭스에서 영화들을,
                애플 뮤직에서 노래를 보여주는 것. 모두 추천 시스템을 사용해서
                첫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이죠.
            </p>
            <h2>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p>
                HTML 파일을 작성하려면 DOCTYPE, html, head, body ...
                적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요.
                VS Code에서는 !(느낌표)를 입력하고 Tab 키나 Enter 키를 누르면
                HTML 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답니다!
            </p>
            <p>
                이건 Emmet이라고 부르는 문법의 일부인데요. Emmet은 개미라는 뜻이랍니다.
                개미는 자기 몸집의 50배나 넘는 물건을 옮길 수 있다는데요.
                개미처럼 Emmet의 문법도 짧은 단어만 입력하면 긴 HTML 코드를 뚝딱
                만들어낼 수 있으니까, 한 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네요.
            </p>
            <h2>코둥이 퀴즈</h2>
            <p>
                머신 러닝에서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
                구매할만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
                □□ □□□ (이)라고 부른다.
            </p>
        </body>
    </html>

    줄바꿈

    <br> : break line의 약자, 시작태그 혹은 종료태그 하나만 사용<!DOCTYPE html>

    <html>
        <head>
            <title> Weekly Codeit </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1>Weekly Codeit</h1>
            <h2>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p>
                생각만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꿈 같은 이야기죠? 하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랍니다. 마우스
                대신에 유닉스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복잡한 일도 한 번에
                뚝딱하거든요.
            </p>
            <p>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작업 효율성을
                UP! UP! 시켜주는 꿀팁 몇 가지를 준비해봤으니까, 한 번
                살펴보세요.
            </p>
            <h2>머신 러닝을 통한 추천 시스템 (내용 기반, 협업 필터링)</h2>
            <p>
                넷플릭스나 애플 뮤직은 어떻게 영화나 음악을 추천해주는 걸까요?
                일단 추천 시스템이란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 구매할 만한 상품을
                추천해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
            <p>
                내가 평소에 쓰는 서비스들은 이미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놀랍죠?)
                유저 별로 아마존이나 쿠팡에서 물건들을, 넷플릭스에서 영화들을,
                애플 뮤직에서 노래를 보여주는 것. 모두 추천 시스템을 사용해서
                첫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이죠.
            </p>
            <h2>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p>
                HTML 파일을 작성하려면 DOCTYPE, html, head, body ...
                적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요.
                VS Code에서는 !(느낌표)를 입력하고 Tab 키나 Enter 키를 누르면
                HTML 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답니다!
            </p>
            <p>
                이건 Emmet이라고 부르는 문법의 일부인데요. Emmet은 개미라는 뜻이랍니다.
                개미는 자기 몸집의 50배나 넘는 물건을 옮길 수 있다는데요.
                개미처럼 Emmet의 문법도 짧은 단어만 입력하면 긴 HTML 코드를 뚝딱
                만들어낼 수 있으니까, 한 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네요.
            </p>
            <h2>코둥이 퀴즈</h2>
            <p>
                머신 러닝에서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br>
                구매할만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br>
                □□ □□□ (이)라고 부른다.
            </p>
            <p>
                빈 칸에 들어갈 다섯 글자를 답장으로 보내주세요.<br>
                선착순 200분께 코드잇 시그니쳐 굿즈를 보내드려요.
     

    꺽쇄 기호 넣는법

    &lt;(앰퍼샌드 엘 티 세미콜론) &gt;(앰퍼샌드 지 티 세미콜론)

    lt : “~보다 작다”라는 뜻인 영어 less than의 약자 ( < )

    gt : “~보다 크다”라는 뜻인 영어 greater than의 약자 ( > )

            <p>
                HTML 파일을 작성하려면 DOCTYPE, &lt;html&gt;, &lt;head&gt;, &lt;body&gt; ... 적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이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요. VS Code에서는
                !(느낌표)를 입력하고 Tab 키나 Enter 키를 누르면 HTML 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답니다!
            </p>

    링크(하이퍼링크)

    클릭하면 다른 페이지로 넘어가는 것

    링크는 a라는 태그를 사용하면 넣을 수 있음. href = 하이퍼텍스트 참조

    <a href="https://codeit.kr"> → href : 속성 이름, "https://codeit.kr" : 속성 값

    <!DOCTYPE html>
    <html>
      <head>
        <title>Weekly Codeit</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1>Weekly Codeit</h1>
        <img src="thumbnail-unix.png">
        <h2>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p>
          생각만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꿈 같은 이야기죠? 하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랍니다. 마우스 대신에 유닉스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복잡한 일도 한 번에 뚝딱하거든요.
        </p>
        <p>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작업 효율성을 UP! UP! 시켜주는
          꿀팁 몇 가지를 준비해봤으니까, 한 번 살펴보세요!
        </p>
        <p>
          자세히 보기
        </a>
        </p>
        <img src="thumbnail-machine-learning.png">
        <h2>머신 러닝을 통한 추천 시스템 (내용 기반, 협업 필터링)</h2>
        <p>
          넷플릭스나 애플 뮤직은 어떻게 영화나 음악을 추천해주는 걸까요? 일단 추천
          시스템이란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 구매할 만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
        <p>
          내가 평소에 쓰는 서비스들은 이미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놀랍죠?) 유저 별로 아마존이나 쿠팡에서 물건들을, 넷플릭스에서
          영화들을, 애플 뮤직에서 노래를 보여주는 것. 모두 추천 시스템을 사용해서 첫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이죠.
        </p>
        <p>
          자세히 보기
        </a>
        </p>
        <img src="thumbnail-emmet.png">
        <h2>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p>
          HTML 파일을 작성하려면 DOCTYPE, &lt;html&gt;, &lt;head&gt;, &lt;body&gt; ... 적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이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요. VS Code에서는
          !(느낌표)를 입력하고 Tab 키나 Enter 키를 누르면 HTML 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답니다!
        </p>
        <p>
          이건 Emmet 이라고 부르는 문법의 일부인데요. Emmet은 개미라는
          뜻이랍니다. 개미는 자기 몸집의 50배나 넘는 물건을 옮길 수 있다는데요.
          개미처럼 Emmet의 문법도 짧은 단어만 입력하면 긴 HTML 코드를 뚝딱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 한 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네요.
        </p>
        <h2>코둥이 퀴즈</h2>
        <p>
          머신 러닝에서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br>
          구매할만할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br>
          □□ □□□ (이)라고 부른다.
        </p>
        <p>
          빈 칸에 들어갈 다섯 글자를 답장으로 보내주세요.<br>
          선착순 200분께 코드잇 시그니쳐 굿즈를 보내드려요.
        </p>
        <p>Weekly Codeit</p>
        <p>(주)코드잇 | 서울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p>
        <p>Weekly Codeit 을 아직 구독하지 않으셨다면? 구독 신청하기</p>
        <p>뉴스레터가 보이지 않는다면, weekly@codeit.kr을 메일 주소록에 추가해주세요.</p>
        <p>수신 거부 Unsubscribe</p>
      </body>
    </html>

    이미지

    웹에서 불러오기

    사진 오른쪽 버튼 - 이미지 주소 복사

            <h1>Weekly Codeit</h1>
            <h2>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img src="https://example.com/my-image.png" >

    <img src="https://example.com/my-image.png" />

    img = image, 이미지

    src = source, 출처

    이 주소를 출처로 이미지를 넣겠다는 의미

    ※ <br>과 <img> 같은 내용이 없는 태그는 시작태그만 씀

    다운 받은 파일 이미지 넣기

    </p>
        <img src="thumbnail-emmet.png">
        <h2>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같은 폴더 안에 있는 사진은 src 다음에 사진 이름만 적어주면 됨.


    위키 페이지 만들기

    <!DOCTYPE html>
    <html>
      <head>
        <title>김연아(金姸兒,Yuna Kim)</title>
        <meta charset="utf-8">
      </head>
      <body>
        <h1>김연아<br>(Yuna Kim)</h1>
        <p>
          김연아</a>,
          영어: Yuna Kim, 1990년 9월 5일~)는
          대한민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였다.
        </p>
      </body>
    </html>

    영역 나누기

    <div>, <span>

    <div> <!-- 눈에 보이지 않는 박스 -->
         <h1>Weekly <span>Codeit</span></h1>
         <p>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div>
         <h1>Weekly <span>Codeit</span></h1>

    HTML 코드 편하게 쓰는 법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인터넷 익스플로러에서 최신 표준 모드로 보여주는 코드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모바일 기기에서 보여줄 비율을 조정하는 코드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3. CSS 시작하기

     

    CSS 문서 표준 컬러

    https://www.w3.org/wiki/CSS/Properties/color/keywords

     

    CSS/Properties/color/keywords - W3C Wiki

    Color keywords Basic Colors Named Numeric Color name Hex rgb Decimal     black #000000 0,0,0     silver #C0C0C0 192,192,192     gray #808080 128,128,128     white #FFFFFF 255,255,255     maroon #800000 128,0,0     red #FF0000 255,0,0     pu

    www.w3.org

     

     

    구글 color picker

    https://g.co/kgs/VdSXaW

    HEX(16진수)
    대소문자 구분 없음 → #ff0000과 #FF0000은 똑같은 빨간색

     

    CSS 속성: CSS 속성값

    여러 가지 속성 작성할 때는 세미콜론(;)으로 구분

     

    <div style="color: #272928; background-color: #eeeeee">
       ...
    </div>


    배경색

    background-color: #272928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div style="background-color: #purple"> 

     

    <div style="background-color: #fbfbff">

      <div style="background-color: #fbfbff">
        <h2>코둥이 퀴즈</h2>
        <p style="background-color: #f6f1ff">
      <div style="background-color: #46415a">

    글자색

    color: #ffffff

         <h1 style="color: #ffffff">Weekly <span>Codeit</span></h1>
         <p style="color: #c1b7ff">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태그마다 일일히 글자색을 넣는게 번거로울 경우

    → 영역 전체에 글자색을 지정할 수도 있음

      <body style="color: #737373">

    <p style="background-color: #f6f1ff; color: #7844e8">

    background-color는 배경색, color는 글자색을 의미함.


    글꼴

    font-family

    family는 글꼴을 여러 개 지정할 수 있다는 의미임.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sans-serif">

    serif : 글자끝에 있는 뾰족한 부리같이 생긴 것 (ex. 명조, 궁서체)

    san-serif : 뽀족한 글자가 없다 (ex. 고딕체, 돋움체)

    → 네트워크가 글꼴을 골라서 보여줌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serif">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Arial"> <!--Arial글꼴은 영문만 있음-->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Arial, AppleGothic, 돋움, sans-serif">

    Arial은 영문만 있어서 한글에는 AppleGothic, 없으면 돋움, 그것도 없으면 sans-serif가 지정되도록 함.

    CSS에서 font-family로 글꼴을 여러 개 지정해두면 웹브라우저가 차례대로 확인하면서 가능한 글꼴을 적용해줌


    구글폰트

    웹 폰트 : 사이트에 접속하면 글꼴을 자동으로 다운받아서 보여줌.

    https://fonts.google.com/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Noto Sans Korean 선택 - Styles 섹션에서 Regular 400, Bold 700

    link를 복사해서 태그 안에 넣는다.

    link 태그 vs a 태그 

     

    link 태그 : HTML 문서에서 외부 리소스를 로드하기 위해 사용됨.

    - 외부 CSS 파일을 연결하거나, 웹 사이트에서 사용되는 아이콘, 폰트 등을 로드

    - HTML <head> 요소 내에서 사용됨

    → 다른 파일 로드하는 데 사용

     

    a 태그 : HTML 문서에서 내부 및 외부 페이지로 링크를 생성하는데 사용됨.

    - href 속성을 사용하여 링크 대상 URL을 지정하고, 사용자가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URL로 이동하게 됨.

    - HTML <body> 요소 내에서 사용됨

    → 다른 페이지로 이동하는 데 사용

    Noto Sans KR에 따옴표가 있는 이유는 단어 사이에 공백이 있기 때문임.

    영문 글꼴 - Poppins (Regular 400, SemiBold 600)

    <head>
        <title>Weekly Codeit</title>
        <meta charset="utf-8">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oogleapis.com">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static.com" crossorigin>
      </head>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Poppins', 'Noto Sans KR', sans-serif">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h1 style="color: #ffffff">Weekly <span>Codeit</span></h1>
         <p style="color: #c1b7ff">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영문은 Poppins, 한글은 Noto Sans KR이 적용되는 걸 확인할 수 있음.

     


    글자 크기와 굵기

     

    <h1> 태그는 굵고 큼, <p> 태그는 작고 얇음. 웹브라우저에서 기본적인 CSS 속성이 지정되어 있어서 그럼.

    글자 크기가 24px = 글자의 세로 길이가 24px

     

    <h2> 태그의 글자 크기를 20으로 변경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

    font-weight는 100부터 900까지, 100단위로 씀. 숫자가 클수록 굵음.

    중간이 되는 font-weight 값은 400

    <span></span>은 미리 해둘 필요 없고, 필요할 때 나눠도 됨.

    <h2 style="font-size: 24px; font-weight: 300">
      배움의 기쁨을 세상 모두에게.<br>
      <span style="font-size: 32px; font-weight: 700">
        많은 코둥이들이 구독하고 있어요!
      </span>
    </h2>


    글 정렬하기

    text-align: left, right, center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h1 style="color: #ffffff; font-weight: 300; text-align: center">Weekly <span style="font-weight: 700">Codeit</span></h1>
         <p style="color: #c1b7ff; text-align: center">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h1>, <p> 태그에 정렬을 각각 따로 해주면 귀찮음

    → 더 상위에 있는 <div> 태그에 style을 지정해주자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text-align: center">
         <h1 style="color: #ffffff; font-weight: 300">Weekly <span style="font-weight: 700">Codeit</span></h1>
         <p style="color: #c1b7ff">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크기

    <img src="thumbnail-unix.png" style="width: 700px; height:375px">

    웹브라우저 너비는 매번 다를 수 있어서 이렇게 px로 크기를 지정하면 크기가 고정되어 문제가 있음

     

    <img src="thumbnail-unix.png" style="width: 100%; height:375px">

    영역 안에서 퍼센트 만큼 채워줌 (100%는 꽉 채워주는 것)

    width만 100%로 수정

    이미지 너비는 브라우저 길이에 따라 잘 조정이 되는데, 이미지가 찌그러져 있음

    → 높이가 375px로 고정되어 있어서 그럼

    height px값 지우고 width를 100%

        <div>
         <div style="width: 560px">
          <img src="thumbnail-unix.png" style="width: 100%">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p>
            생각만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꿈 같은 이야기죠? 하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랍니다. 마우스 대신에 유닉스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복잡한 일도 한 번에 뚝딱하거든요.
          </p>
          <p>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작업 효율성을 UP! UP! 시켜주는
            꿀팁 몇 가지를 준비해봤으니까, 한 번 살펴보세요!
          </p>
          <p>
            <a href="https://blog.codeit.kr/post/6052b25f701df852a9157516">자세히 보기</a>
          </p>
         </div>
        </div>

    div태그에 너비가 560px로 고정되도록 수정함

    img는 너비 100%로 설정 변경함


    여백

    안쪽여백 : padding을 통해 여백 지정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text-align: center; padding: 20px"> 

    가로여백만 20px로 줄이고 싶으면

    padding: 40px 20px 이런식으로 쓰면 됨. 시계방향 순서대로 

     

    바깥여백 : margin

       <div style="background-color: #46415a; 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padding: 40px 20px; margin: 32px">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Poppins', 'Noto Sans KR', sans-serif; margin: 0">

    margin설정으로 바깥여백 변화

    margin의 특별한 기능

    바깥여백 중 가로여백을 웹브라우저가 자동으로 채움

    margin: 상하(세로) 좌우(가로)

    margin: 0 32; → 가로 방향(좌우) 여백 32px, 세로 방향(상하) 여백 0px

         <div style="width: 560px; margin: 0 auto">

    margin: 0 auto는 세로는 0, 가로는 자동으로 채우라는 의미임.

    margin: 0 auto 적용 후


    4. 완성하기

    페이지끼리 연결하기

    <p>(주)코드잇 | 서울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p>
          <p>Weekly Codeit 을 아직 구독하지 않으셨다면? <a href="subscribe.html" style="color: #ffffff">구독 신청하기</a></p>
          <p>뉴스레터가 보이지 않는다면, weekly@codeit.kr을 메일 주소록에 추가해주세요.</p>


    오픈그래프로 소셜 공유 미리보기 만들기

        <meta property="og:title" content="Weekly Codeit">

    https://ogp.me/

     

    Open Graph protocol

    The Open Graph protocol enables any web page to become a rich object in a social graph.

    ogp.me

    https://developers.facebook.com/tools/debug/

     

    공유 디버거 - Meta for Developers

    공유 디버거를 사용하면 Facebook에 공유될 때 콘텐츠가 표시되는 모습을 미리 보거나 오픈 그래프 태그를 사용하여 문제를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이 도구를 사용하려면 Facebook에 로그인하세요.

    developers.facebook.com


    구글 애널리틱스로 방문자 수 확인하기

    https://analytics.google.com/analytics/web/provision/?hl=ko#/provision 

     

    Redirecting...

     

    analytics.google.com

    자바스크립트로 만들어짐

    쿠키를 갖고 방문자수 통계를 냄


    도메인 설정하기

     

     


    5. 꿀팁

    개발자 도구 사용하기

    크롬 개발자 도구 (F12)

    개발자도구에서 html을 수정하여도 파일을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서 저장되지 않음.

    원하는 사이트의 코드를 확인할 수 있음.


    편리한 도구 소개

    Live Server

    VS Code의 확장 프로그램

    HTML 파일을 열었을 때 우측 하단의 'Go Live'를클릭하면 웹 브라우저에서 사이트가 열림.


    Codepen

    https://codepen.io/

     

    CodePen

    An online code editor, learning environment, and community for front-end web development using HTML, CSS and JavaScript code snippets, projects, and web applications.

    codepen.io


    HTML/CSS를 공부하는 법

     

    검색 사이트에서 찾아볼 때 공부 방법

    https://whatwg.org/

     

    Web Hypertext Application Technology Working Group (WHATWG)

     

    whatwg.org

    웹 브라우저 제작자들이 표준을 만들려고 보는 문서

     

    https://developer.mozilla.org/ko/

     

    MDN Web Docs

    The MDN Web Docs site provides information about Open Web technologies including HTML, CSS, and APIs for both Web sites and progressive web apps.

    developer.mozilla.org

    모질라 = 파이어폭스 브라우저를 만드는 비영리재단

    한국어 버전은 자원봉사자들이 만든 것임

    mdn div 이런식으로 검색하면 좋음


    <!DOCTYPE html>
    <html>
      <head>
        <title>Weekly Codeit</title>
        <meta charset="utf-8">
        <meta name="description" content="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 <!--화면X-->
        <meta property="og:title" content="Weekly Codeit">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oogleapis.com">
        <link rel="preconnect" href="https://fonts.gstatic.com" crossorigin>
      </head>
      <body style="color: #737373;
      font-family: 'Poppins', 'Noto Sans KR', sans-serif; margin: 0">
        <div style="background-color: #7542e0; text-align: center; padding: 20px">
         <h1 style="color: #ffffff; font-weight: 300">Weekly <span style="font-weight: 700">Codeit</span></h1>
         <p style="color: #c1b7ff">금요일에 만나는 코딩 한 스푼</p>
        </div>
        <div style="padding: 40px 20px">
         <div style="width: 560px; margin: 0 auto">
          <img src="thumbnail-unix.png" style="width: 100%">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생산성을 높여줄 유닉스 커맨드 꿀팁</h2>
          <p>
            생각만하면 모든게 이루어진다! 꿈 같은 이야기죠? 하지만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하면 더 이상 꿈이 아니랍니다. 마우스 대신에 유닉스 명령어들을 사용하면
            복잡한 일도 한 번에 뚝딱하거든요.
          </p>
          <p>
            유닉스 커맨드를 사용할 때 알아두면 좋은, 작업 효율성을 UP! UP! 시켜주는
            꿀팁 몇 가지를 준비해봤으니까, 한 번 살펴보세요!
          </p>
          <p>
            <a href="https://blog.codeit.kr/post/6052b25f701df852a9157516">자세히 보기</a>
          </p>
         </div>
        </div>
        <div style="background-color: #fbfbff; padding: 40px 20px">
         <div style="width: 560px; margin: 0 auto">
          <img src="thumbnail-machine-learning.png">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머신 러닝을 통한 추천 시스템 (내용 기반, 협업 필터링)</h2>
          <p>
            넷플릭스나 애플 뮤직은 어떻게 영화나 음악을 추천해주는 걸까요? 일단 추천
            시스템이란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 구매할 만한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
          <p>
            내가 평소에 쓰는 서비스들은 이미 추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을지도 모릅니다.
            (놀랍죠?) 유저 별로 아마존이나 쿠팡에서 물건들을, 넷플릭스에서
            영화들을, 애플 뮤직에서 노래를 보여주는 것. 모두 추천 시스템을 사용해서 첫
            화면에 보여주기 때문이죠.
          </p>
          <p><a href="https://blog.codeit.kr/post/6054359298b173400407da01">자세히 보기</a></p>
         </div>
        </div>
        <div style="padding: 40px 20px">
         <div style="width: 560px; margin: 0 auto">
          <img src="thumbnail-emmet.png">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Tips & Tricks: HTML 코드 편하게 입력하는 법</h2>
          <p>
            HTML 파일을 작성하려면 DOCTYPE, &lt;html&gt;, &lt;head&gt;, &lt;body&gt; ... 적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이럴때 유용하게 쓸 수 있는 기능이 있는데요. VS Code에서는
            !(느낌표)를 입력하고 Tab 키나 Enter 키를 누르면 HTML 코드를 한번에 입력할
            수 있답니다!
          </p>
          <p>
            이건 Emmet 이라고 부르는 문법의 일부인데요. Emmet은 개미라는
            뜻이랍니다. 개미는 자기 몸집의 50배나 넘는 물건을 옮길 수 있다는데요.
            개미처럼 Emmet의 문법도 짧은 단어만 입력하면 긴 HTML 코드를 뚝딱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 한 번 살펴보시는 것도 좋을 거 같네요.
          </p>
         </div>
        </div>
        <div style="background-color: #fbfbff; text-align: center; padding: 40px 20px">
         <div style="width: 560px; margin: 0 auto">
          <h2 style="color: #2e2e2e; font-size: 20px">코둥이 퀴즈</h2>
          <p style="background-color: #f6f1ff; color: #7844e8; padding: 16px">
            머신 러닝에서 유저에게 유저가 좋아하거나<br>
            구매할만할 상품을 추천해 주는 프로그램을<br>
            □□ □□□ (이)라고 부른다.
          </p>
          <p>
            빈 칸에 들어갈 다섯 글자를 답장으로 보내주세요.<br>
            선착순 200분께 코드잇 시그니쳐 굿즈를 보내드려요.
          </p>
         </div>
        </div>
       <div style="background-color: #46415a; color: #ffffff;
       text-align: center; padding: 40px 20px; margin: 32px">
          <p>Weekly <span style="font-weight: 700">Codeit</span></p>
          <p>(주)코드잇 | 서울 중구 청계천로 100 시그니쳐타워 동관 10층</p>
          <p>Weekly Codeit 을 아직 구독하지 않으셨다면? <a href="subscribe.html" style="color: #ffffff">구독 신청하기</a></p>
          <p>뉴스레터가 보이지 않는다면, weekly@codeit.kr을 메일 주소록에 추가해주세요.</p>
          <p>수신 거부 Unsubscribe</p>
       </div>
      </body>
    </html>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