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꼽파지 않도록 잘 개발해요

비전공자도 가능했던 정보처리기사 2024년 2회 합격 후기 (필기/실기) 본문

자격증

비전공자도 가능했던 정보처리기사 2024년 2회 합격 후기 (필기/실기)

꼽파 2025. 8. 1. 05:44
  • 자격증 시험 개요
  • 응시 배경
  • 필기 시험
    • 시험 개요 
    • 일반적인 공부 방법
    • 내 공부 방법
    • 시험 후기 (23년 2회)
  • 실기 시험
    • 시험 개요 
    • 원서 접수 팁
    • 일반적인 권장 공부법 (인강, 링크, 교재 등)
    • 내 공부 방법
    • 시험 후기 (24년 2회)
  • 마무리

자격증 시험 개요

  • 주관: 한국산업인력공단
  • 시행: 연 3회 (필기·실기 별도 진행)
  • 접수: 큐넷 홈페이지 (q-net.or.kr)
  • 응시 절차: 필기 합격 → 실기 응시 가능 (필기 합격 후 2년 유효)
  • 자격 유효기간: 없음 (한 번 취득하면 평생 유효)
  • 응시 자격: 관련 학과 졸업자, 4년제 대학 졸업자 등

📌 시험 준비는 블로그, 유튜브 등으로 개요 파악 후, 큐넷에서 최신 공고로 사실 확인하는 것이 좋다.

 


응시 배경

1) 왜 정처기를 준비하게 되었는가

비전공자로서 개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먼저 들었던 생각은,
"내가 CS(Computer Science) 기초가 있다는 걸 어떻게 증명하지?"였다.

 

결국 내가 찾은 그나마 현실적인 대안은 자격증이었다.
그중에서도 공신력 있고 대중적이며, 소수의 특정 기업에서 요구하는 자격증이 바로
바로 정보처리기사(약칭: 정처기)였다.


다들 알다시피, 정처기는 공부하고 외우면 딸 수는 있지만 실기가 특히 어렵기로 악명 높다.

나는 필기 시험을 2023년에 먼저 붙었지만, 실기 시험은 "언제 보지?" 하다가  한참을 미뤘고…
결국 2024년 2회차 실기에 응시해 최종 합격했다.

그리고 그 시험을 본 지 1년이 다 되어가서야 드디어 후기를 쓴다 ㅋㅋ

 

이 글은 비전공자인 내가 정보처리기사 자격증을 준비하며 느낀 점,
필기/실기 각각의 공부 방법, 실전 팁, 그리고 시험 당일의 경험
까지 솔직하게 담은 후기다.

 

2) 응시한 시험 정보 

아래는 내가 실제로 응시한 시험 정보다.

구분 시험 시기 시험 일자 점수 준비 기간
필기 2023년 2회 5월 24일 턱걸이로 합격 3일
실기 2024년 2회 7월 28일 78점 18일 (약 3주)

 

3) 합격 인증 

정처기 실기 78점으로 합격
감격스러워 상장형 자격증도 신청했는데 다 부질없었다

 

4) 내 배경

참고로 난 완전한 노베이스는 아니었다.

  • SQLD, 네트워크관리사 등의 IT 관련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고,
  • 코드잇(Codeit)에서 기초 프로그래밍 강의를 꽤 많이 들었으며(작년 가을에 레벨 65였음),
  • 방송대 컴퓨터과학과도 한 학기 수강했어서
    아예 바닥부터 시작한 건 아니었다.

 


필기 시험

1) 시험 개요

 

  • 시험 구성: 5개 과목 × 각 20문항 = 총 100문항
  • 문제 유형: 객관식 4지 선다형
  • 배점: 문항당 1점, 총점 100점
  • 합격 기준: 과목당 40점 이상 +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 응시 유효기간: 필기 합격 후 실기 응시 가능 기간은 2년
  • 준비물: 신분증, 필기도구
  • 출제 기준 확인: 큐넷 정보처리기사 출제기준 바로가기

 

📘 필기 과목

  1. 소프트웨어 설계
  2. 소프트웨어 개발
  3. 데이터베이스 구축
  4.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5. 정보시스템 구축 관리

 

2) 일반적인 공부 방법

정보처리기사 필기는 실기보다 상대적으로 쉽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크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인데, 첫째는 객관식이라 운 좋으면 찍어서 맞출 수도 있고, 둘째는 문제은행 방식으로 기출문제가 반복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래서 보통 준비하는 방식은 단순하다.
기출문제 최근 5개년치를 반복해서 풀고 해설까지 달달 외우는 방식이다. 이걸로도 꽤 합격하는 사람이 많다.
책을 따로 구매하지 않고도 공부 가능한데, 유튜브 요약 강의CBT 기출문제 사이트를 활용하면 충분히 대비할 수 있다.

물론 실기까지 준비한다면 필기 때부터 책으로 개념을 쌓아두는 게 좋다.
보통은 시나공 / 이기적 / 수제비 중 한 권 선택해서 공부한다.

 

3) 내 공부 방법

나는 책을 사서 준비기간 5일을 잡아 놓고, 딱 3일 벼락치기 했다.

2022년 말쯤, 이기적 정보처리기사 필기 책을 샀다.
이 책은 1권은 이론, 2권은 기출문제로 나눠져 있었는데, 공부 시간이 부족해서 1권 이론서만 정말 열심히 봤다.

책이 닳을 정도로 정독하면서, 중요한 부분은 A4 용지에 따로 정리해뒀다.


기출문제는 풀 여유가 없어서 결국 2권은 한 번도 못 보고 시험장에 가게 됐다.

대신 정리해 둔 A4 용지를 들고 가서, 시험 보기 직전까지 훑어보며 마무리 정리를 했다.
기출을 못 본 건 아쉽긴 했지만, 이론서를 제대로 봐둔 덕분에 어느 정도는 버틸 수 있었던 것 같다.

 

2022년 이기적 정보처리기사 필기

4) 시험 후기 (2023년 2회)

고사장 가서 실제로는 그냥 찍은 문제도 많았고, 문제당 시간은 넉넉해서 부담 없었다.
운 좋게 턱걸이로 합격했는데, 특정 과목 점수는 꽤 낮게 나왔던 기억이 난다.
시험 끝나고 나면 문제 먼저 다 풀면 바로 퇴실 가능해서, 빨리 끝내고 나올 수 있었던 것도 좋았다.

 

그리고 시험 종료하면 컴퓨터에서 채점되어서 합불 여부가 나왔던 걸로 기억한다.

같은 고사장에 다양한 시험 응시자가 함께 시험을 보기 때문에,
앞사람이 먼저 퇴실할 때 합격/불합격 여부가 화면 색상으로 다르게 표시되는 걸(빨강/파랑) 볼 수 있다.

지금도 그런지는 잘 모르겠다.

 

좌) 필기 시험 공부했던 도서관, 우) 코드잇 데이터베이스 강의 수강

 


실기 시험

필기 시험을 먼저 치르고 나면, 대부분 바로 실기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나는 실기 준비를 망설이다가 꽤 오랜 시간이 흘렀다. 당해 년도에 같이 준비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

 

1) 시험 개요

  • 문항 수: 총 20문제
  • 배점: 문제당 5점 (총 100점)
    - 부분점수 있음: 예) 2문항 중 1개 맞으면 2.5점
  • 형태: 전부 주관식 (단답형, 약술형)
  • 출제 범위: 아래 표로 정리
  • 합격 기준: 60점 이상
  • 원서접수 시 인원 몰림 → 미리 준비사항 정리해두기!
대분류 세부 항목
요구사항 구현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아키텍처 패턴, 디자인 패턴
데이터 입출력 구현 데이터 모델 절차, 이상 현상, 정규화, DB 무결성, 키 종류, 데이터 관련 용어
통합 구현 연계 매커니즘, 웹서비스 구현
서버 프로그램 구현 모듈화(응집도, 결합도), 배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구현 JSON, XAML, AJAX, REST 등
화면 설계 UI/UX 설계 개념 및 구성요소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화이트박스, 블랙박스,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SQL 응용 트랜잭션, 격리 수준, 회복 기법, 스키마, DDL, 뷰, 인덱스, DML, 서브쿼리, 조인
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구축 보안 설계, 공격기법 용어, 암호화 알고리즘, 유닉스/리눅스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C 언어, Java, Python
응용 SW 기초 기술 활용 운영체제 특징, 메모리 할당, 디스크 스케줄링, 네트워크 장비, OSI 7계층
제품 소프트웨어 패키징 설치/배포, 릴리즈 노트, 사용자 매뉴얼 작성 등

 


2) 일반적인 공부 방법

1️⃣ 시험 유형 및 핵심 전략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은 총 20문제로 구성되며, 프로그래밍 언어(C, Java, Python)SQL 파트의 비중이 가장 높다.
보통 이 두 파트에서만 전체 문항의 절반 이상(9~12문제)이 출제되기 때문에, 여기를 잡지 못하면 합격이 어렵다.

 

[과목별 출제되는 문제 수]

프로그래밍 언어 8~9문제
SQL 응용 1~3문제
응용 SW 기초 기술 2~4문제
SW 보안 1~3문제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1~2문제
기타(운영체제, IT용어 등) 1문제 내외
 

→ 전략:

프로그래밍 언어 & SQL 완벽히 → 나머지는 암기로 커버
이렇게 2단계 전략으로 접근해야 효율적이다.

 


2️⃣ 프로그래밍 언어 & SQL 집중 공략

[프로그래밍 언어]

C, Java, Python 중 어느 언어로 나오든 핵심 문법과 흐름 이해가 중요하다.
단순히 문법만 외우는 게 아니라, 코드를 보면 "아 이건 짝수만 구하는 코드네", "이건 문자열에서 첫 글자 뽑는 함수네" 정도의 맥락 파악이 가능해야 된다.

  • C 언어: 구조체, 포인터 등 함정 요소 주의. (int *ptr = arr; 이런 코드 흐름 익히기)
  • Java: 객체지향 요소 위주로 등장 (클래스, 상속, 다형성 등)
  • Python: 문법은 쉽지만 다양한 내장 메서드 기억 필요 (특히 문자열 관련)

코드를 직접 돌려보며 익히는 것이 가장 좋고,
기출보다 조금 더 어려운 수준까지 연습해두는 것이 안정적이다.

[SQL]

SQL은 단순히 SELECT * FROM 수준이 아니라, 직접 결과 값을 계산해내는 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으로 조회하거나, JOIN/집계 함수 등을 활용해 수치 결과를 도출하는 문제들이 자주 나온다.

  • 기출문제 위주로 반복학습
  • JOIN / WHERE / GROUP BY / ORDER BY / 서브쿼리 정도는 기본
  • 실제로 손으로 쓰고, 결과가 숫자로 딱 나올 수 있도록 연습

 


3️⃣ 나머지 과목: 이론 위주 + 외우기 전략

프로그래밍/SQL을 어느 정도 마스터했다면, 그 다음은 이론을 암기해야한다.
시간이 넉넉하면 교재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것도 가능하지만, 보통은 빈출 위주로 압축해서 암기하는 게 효율적이다.

 

[안 외우면 떨어지는 내용]

 

  • SW 생명주기: 폭포수, 프로토타입, 나선형, 애자일 정의 & 특징 암기
  • 요구사항 프로세스: 도출 → 분석 → 명세 → 확인 (순서 중요)
  • 디자인 패턴: 생성 / 구조 / 행위 유형별 구분 + 예시 암기
  • 응집도/결합도: 응집도 높을수록 좋고, 결합도는 낮을수록 좋음 (암기 순서 자주 출제)
  • 테스트 종류: 블랙박스 / 화이트박스 + 기법 암기 (제어구조, 루프 테스트 등)
  • 운영체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문제 직접 풀 수 있어야 하고,
    교착상태 조건 및 해결, 스케줄링 방식도 영문 약어 암기 포함
  • DB 용어: 무결성, 스키마, 키 종류, 트랜잭션 등은 거의 다 나온다고 생각하고 다 외우기
  • IT 용어: 기출 중심으로 외우기 (예: 스머핑, ARP, RARP, 유니캐스트 등)

 

너무 생소하고 어려운 용어까지 무리해서 외우는 건 비추.
기출에서 반복되는 것 위주로, 특히 세트로 묶이는 용어 (예: ARP/RARP, 브로드/멀티캐스트 등) 우선!

 


4️⃣ 시험 직전 정리 전략 (D-3~D-day)

  • 오픈채팅방(오카방) 들어가서 정보 교류 (특히 1~2일 전 기출 예상 공유)
    단, 시험 전날까지 보면 불안해지니까 안 보는거 추천
  • 틀렸던 문제/모르는 개념 정리본 만들어서 반복 학습
  • 두음 암기 정리 + A4 한 장 요약본 만들어서 빠르게 훑기
  • IT용어는 기출 중심으로만. 나머지는 어차피 맞추기 힘드니 버려도 무방함
  • 필독) 기사퍼스트 기출 복원 문제 게시판
    - 실기 시험 직전에는 아래 링크에서 복원된 기출 문제와 가답안을 참고하면 좋음.
    - 게시물 댓글만 봐도 출제된 문제 흐름이 유추됨.
    - 시험 후엔 가채점도 여기서 가능!

 


5️⃣ 교재 & 인강 선택 가이드

[교재]

  • 대부분 수험생들이 수제비 실기 교재 사용
  • 다른 교재도 나쁘진 않지만, 수제비가 가장 검증됨

[인강]

  • 무료 인강: 유튜브 수제비 채널 등 
  • 유료 인강: 기사퍼스트 권우석, 흥달쌤 등
    (다만 유료 강의는 비싸기 때문에, 인강이 꼭 필요하지 않다면 교재 + 무료 강의 병행 추천)

 


6️⃣ 대상별 추천 공부 방법

  • 1일 4~8시간 공부한다는 가정
대상 준비 기간 인강 필요 여부 전략
전공자 2주 수제비 + 기출만으로 충분
비전공자 (중간 베이스) 3~4주 ❌ (여유 있으면 O) 교재+무료강의 병행
완전 노베이스 직장인 2~3개월 유료 인강 + 실습 위주로

 

 


3) 내 공부 방법

[공부 기간]

준비 기간은 18일로, 그 중 2일은 아예 손도 못 댔고, 실제 공부일수는 16일 정도였다.
당시 여름 장마철이었고, 아르바이트 빼고는 하루 종일 집에 박혀서 공부만 했다.
하루 8시간 이상씩은 거의 붙어 있었던 것 같다.

그동안 공부에 몰입을 잘 못했는데, 실기 시험이 워낙 서술형이고 분량도 많다 보니까
이건 진짜 제대로 안 하면 떨어지겠다는 위기감이 들어서 빡세게 했다.

 

[사용 교재]

  • 수제비 정보처리기사 실기 교재 1권
    → 이론 파트는 완전 정독해서 1회독했고
    → 기출문제는 시간상 1회분 정도만 풀었다.
  • 나도코딩 C 언어 무료 강의
    → C언어 기본 문법 복습용. 구조체나 포인터처럼 실기에서 잘 나오는 부분만 따로 정리했다.
  • Final 모의고사 문제집
    → 사놓고 한 번도 안 풀고 당근에 바로 넘김...
  •  

수제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교재
수제비 2024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FINAL 실전 모의고사 (구매하자마자 당근행)

 

[파트별 공부 방법]

  • 프로그래밍
    • C 언어는 영상으로 문법 정리하고, 수제비 문제 몇 개 풀어봤음
    • Java는 개념+예제만 보고 이해함. 따로 코딩은 안 했음
    • Python은 원래 베이스 있어서, 개념+예제만 훑어보고 넘어감
  • SQL
    • 이미 SQLD 자격증을 땄던 터라 부담은 없었음
    • 수제비에 나오는 쿼리 문제는 직접 써서 작성해봤음
  • 이론
    • 수제비 이론 파트 정독 → 중요한 부분은 A4 한 장으로 정리
    • 시험 직전엔 오답 문제 + 요약 노트 중심으로 복습

정보처리기사_실기_전체.pdf
0.44MB
정보처리기사_실기_요약.zip
1.46MB


4) 시험 후기 (24년 2회)

여름 시험이라 무더웠고, 알바 일정 조율해서 어렵게 응시했다.
사장님이 시험 결과를 계속 물어봐서 심리적으로 압박이 컸다. 오죽하면 정보처리기사 시험 정보를 인터넷에 검색해서 합격률까지 알아보시더라. 다행히 붙었다.

 

이번 시험은 프로그래밍 파트가 약간 까다로웠고, SQL 파트는 매우 쉬운 편이었다.
이론 문제 중에서는 디스크 스케줄링, 네트워크 연결 방식 같이 직접 내용을 이해하고 있어야 풀 수 있는 문제들이 까다로웠다.

IT 용어는 기출문제에서 나오던 내용이 나왔다. 

 

전반적으로 최근 3개년 시험 중에서는 무난한 난이도였다고 생각한다.

 


마무리

 

정보처리기사 실기는 범위가 넓고 어디서 출제될지 예측이 어려우므로, 최소 2주 이상 준비 기간을 확보해야 한다.

특히 IT 비전공자라면 여유 있는 일정이 필수이다.


자료는 충분히 시중에 널려 있으므로, 결국 관건은 얼마나 시간과 집중을 투자하느냐이다.

객관식이 아닌 절대평가형 서술 시험인 만큼, 내용을 정확히 알고 쓰지 않으면 점수를 받기 어렵다.

 

지금 준비 중인 분들, 시간+요령만 잘 확보한다면 누구나 합격할 수 있습니다. 화이팅!

 

1. 실기 핵심은 프로그래밍 언어 + SQL → 거의 다 맞아야 함

2. 이론 파트는 빈출 위주로 외우고, 두음으로 정리

3. 시험 직전엔 기출 문제 + 오답 위주 복습

4. 수제비 교재 + 무료 강의 조합으로도 충분히 합격 가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