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 redis
- 항해99
- 꿀단집
- 방송대컴퓨터과학과
-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준비
- 개발자취업
- Python
- Cookie
- 코딩테스트
- 99클럽
- TiL
- SQL
- 파이썬
- 유노코딩
- nestjs
- presignedurl
- 코드잇
- 방송대
- 엘리스sw트랙
- HTML
- node.js
- 중간이들
- Git
-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 aws
- MySQL
- JavaScript
- CSS
- Today
- Total
목록방송대 (34)
배꼽파지 않도록 잘 개발해요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초창기 계산도구 1617년 네이피어(John Napier), 네이피어 봉 곱셈용 계산도구 1642년 파스칼(Blaise Pascal), 가산기 최초의 기계식 계산장치, 곰셈과 나눗셈이 번거로움 1674년 라이프니츠(Gottfried Leibniz), 승제산기 파스칼의 가산기를 개선함. 루트 함수까지 수행할 수 있음. 1834년 영국 배비지(Charles Babbage), 해석기계(analytical engine) 입력, 출력, 기억, 제어, 계산장치 등 현재 컴퓨터의 5대 기능과 비슷함. 20자리 정밀도를 가짐. 설계만 하였고, 당시 기술로 제작하지 못함. 전자식 계산기의 등장 1937-1942년 ABC 아타나소프(John V..

문제 1번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문의 집합을 단일 식별자로 구성한 개념은? [9강] ① 함수 ② 인터프리터 ③ 파일 ④ 명령 블럭 • 함수 - 특정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문의 집합을 단일 식별자로 구성한 개념 - 특정 작업을 함수의 이름으로 대체 - 유사한 유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고려 (전체적인 흐름은 같으나, 값은 다름) • 반환값에 따른 함수의 종류 - 반환값이 없는 함수 : print (모니터에 값을 출력만 함) - 반환값이 있는 함수 : input, format, int 등 인터프리터 소스 코드를 한 줄씩 읽어들여 해당 코드를 실행하는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 파일 컴퓨터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위 명령 블럭 프로그래밍에..

문제 1번 다음 중 물리적 저장장치를 데이터 접근 속도가 빠른 것부터 느린 것 순서로 나열된 것은? [9강] ① 캐시 - 메인메모리 - 레지스터 - 자기디스크 ② 자기디스크 - 메인메모리 - 레지스터 - 캐시 ③ 레지스터 - 캐시 - 메인메모리 - 자기디스크 ④ 메인메모리 - 자기디스크 - 레지스터 - 캐시 (비쌈, 빠름, 휘발성) 레지스터 - 캐시 - 메인 메모리 - 자기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저렴함, 느림, 비휘발성) 휘발성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기억장치 안의 모든 데이터가 소멸됨. • 캐시 : 고비용 저장장치로 빠른 접근 속도를 보장 • 메인 메모리 : 실제 프로그램과 데이터 적재 공간 비휘발성 용량은 많지만 조회 속도는 느려서 읽고 쓰는 빈도는 적고, 주로 데이터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회복의 역할 예상치 못한 HW 고장 및 SW 오류가 발생하면 사용자의 작업에 대한 안정적 디스크 반영 여부 보장이 불가능 오류 발생 이전의 일관된 상태로 데이터베이스를 복원시키는 기법이 요구 회복 시스템(recovery system) -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동안 데이터베이스 회복에 필요한 데이터를 별도 보관하다가 DBMS에 문제 발생 시 시스템 내에서 발생한 실패의 원인을 검출하고 실패 이전의 일관적인 상태로 되돌리는 작업을 할 때 이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 - 시스템 내의 고장 원인 검출, DBMS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보장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 복원 절차 내재화 시스템 실패(system failure)의 유형 트랜잭션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동시성 제어의 개념 · 트랜잭션 직렬화(결과의 일관성)와 회복화(원자성 회복)는 스케줄이 데이터 일관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부를 판별하고 일관성이 유지되는 상태로 복원시키기 위해 정의한 개념 · 일관성 훼손을 발생시키는 트랜잭션에 대해 동시성 제어를 통해 일관성 유지에 개입 - 트랜잭션 간 연산의 순서를 제어 - 어떠한 데이터 읽기, 갱신 연산에도 무결성을 유지 - 동시에 실행되는 트랜잭션의 수를 증가 → 자원 이용률 극대화, 사용자 만족도 최대화 · 동시성 제어 규약 종류 : 락 기반 규약, 타임스탬프 기반 규약, 검증 기반 규약 락 기반 규약 직렬 가능성을 보장하기 위해 락(잠금)을 사용하여 데이터 항목에 연산 적용 전 트랜..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데이터 동시 접근의 문제 동일 데이터에 다수 사용자의 접근 허용 시 일관성이 훼손 하나의 작업이 동시에 처리될 때 데이터에 일관성이 훼손 발생함. DBMS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형태의 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 모아놓은 데이터의 집합 → 이러한 형태의 데이터베이스를 일관성이 훼손되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해야함. 우연하게 동일한 데이터에 어떤 작업을 요청할 수 있는 사용자들이 있음. 특별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당연히 일관성이 훼손된 데이터를 만들 수밖에 없음. 트랜잭션의 개념 •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기 위한 하나의 논리적 단위를 이루는 일련의 연산의 집합 예) 예금 인출 작업 단위 : 예금 1000원 인출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해싱의 개념 해시(hash)/해싱(hasing) 탐색키에 산술적인 연산을 통해 버킷의 주소를 계산하는 해시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배분 및 접근하는 기법 마치 동물원에 영역을 구분하여 동물을 배치하는 것과 유사함. · 정적 해싱(static hasing) : 저장 공간의 기본 단위인 버킷의 개수가 정해진 해싱 기법 · 동적 해싱(dynamic hashing) : 버킷의 개수가 데이터베이스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해싱 기법 버킷(bucket) 한 개 이상의 레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의 단위 크기는 일반적으로 디스크 블록의 크기와 일치 ('블럭' 대신 '버킷'이라는 용어 사용) 해시의 구조 해싱의 사용 K : 모든 탐색키 Ki..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인덱스의 필요성 DBMS는 실질적으로 데이터를 디스크에 영구적으로 저장하고, 사용자가 어떤 데이터를 요청하게 되면 내부적으로 디스크와 메모리를 처리해서 그 결과를 제공함. 'COM12'의 과목명을 물어보면 - 디스크에 있는 정보가 곧바로 사용자에게 전달 (X) - 실제 'COM12'에 대한 그 레코드가 메모리 위로 올라와야 함. → 이를 통해서 CPU '메모리 12'에 대한 '과목 코드 12'에 대한 '과목명'은 인터넷과 정보 사회라고 대답하는 형태의 처리 과정 데이터 양이 수천개 정도로 많아질 때, 이런 식의 처리과정은 굉장히 많은 디스크와 메모리 사이에 데이터 입출력이 동반될 수밖에 없는 그런 구조적 특징이 있음. 하나씩 ..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HTML 삽입 미리보기할 수 없는 소스 물리적 저장장치별 특징 상위로 갈수록 고가이고, 휘발성, 용량이 크고, 데이터 접근에 소요되는 시간이 짧음. 하위로 갈수록 저가이고, 비휘발성, 용량이 적고, 데이터 접근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함. 휘발성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기억장치 안의 모든 데이터가 소멸됨. • 캐시 : 고비용 저장장치로 빠른 접근 속도를 보장 • 메인 메모리 : 실제 프로그램과 데이터 적재 공간 비휘발성 용량은 많지만 조회 속도는 느려서 읽고 쓰는 빈도는 적고, 주로 데이터 보관 용도로 사용됨. • 플래쉬 메모리 : 메인 메모리와 유사하나 비휘발성 • 자기 디스크 :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안정적으로 저장, 가장 많이 사용되는 외부 저장장치 • 광학 디스크..

문제 1번 DBMS 사용 이전의 데이터 관리 방식으로 운영체제의 지원으로 여러 파일에 나누어 데이터를 영구 저장하고 운영하는 시스템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강] 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② 문서 관리 시스템 ③ 파일 처리 시스템 ④ 분산 파일 시스템 문제 2번 다음 중 파일 처리 방식의 데이터 관리가 갖는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강] ① 데이터의 독립 ② 데이터의 확장 ③ 데이터의 무결성 훼손 ④ 동시 접근 이상 파일 처리 시스템(file processing system) • 데이터베이스가 개발되기 전에 데이터 관리에 사용 • 업무별 애플리케이션이 개별 데이터파일에 저장·관리하는 시스템 ex. 수강 업무 ←→ 수강 파일, 성적 업무 ←→ 성적 파일, 학적 업무 ←→ 학적 파일 • 발생 가능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