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Python
- aws
- nestjs
- 프로그래머스
- 중간이들
- 코딩테스트준비
- 꿀단집
- 엘리스sw트랙
- 방송대
- TiL
- 항해99
- node.js
- 코딩테스트
- 방송대컴퓨터과학과
- 99클럽
- JavaScript
- 데이터베이스시스템
- 개발자취업
- 클라우드컴퓨팅
- CSS
- redis
- 파이썬
- mongoDB
- 오픈소스기반데이터분석
- 유노코딩
- 파이썬프로그래밍기초
- HTML
- Cookie
- 코드잇
- Git
Archives
- Today
- Total
배꼽파지 않도록 잘 개발해요
방송대 클라우드컴퓨팅 - 2강.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본문
1. 온프레미스 시스템 구성 및 구축 과정
2.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구축
3.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 방식
1. 온프레미스 시스템 구성 및 구축 과정
(1)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On-Premise): 기업이 자체적으로 데이터센터(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를 보유·운용하는 방식.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나오기 전까지의 기업의 인프라 구축의 일반적인 방식
- 개인 혹은 기업이 IT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구축한 서버
- 이메일, 온라인 예약, 온라인 쇼핑, 미디어 스트리킹 등 다양한 서비스에 응용
- 클라우드(Cloud): CSP(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IT 리소스를 임대 형태로 제공하는 방식.
(2) 기업의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
- 애플리케이션 서버: 업무 요청 처리 및 결과 반환
- HTTP 서버: 홈페이지, 웹서비스 제공
- DB 서버: 데이터 무결성 관리
- 메일 서버: 이메일 송수신 (SMTP, POP3, IMAP)
- DNS 서버: 도메인 이름 ↔ IP 주소 변환
- 그룹웨어 서버: 기업 내부 협업용 시스템
- 네트워크 서버: Proxy, NAT, DNS 등 네트워크 서비스
- 인증 서버: 사용자 인증·권한 관리
(3) 온프레미스 시스템 구축 단계
- 요구 기능 수집 → IT 리소스 요구량 추정 (용량 계획)
- 설계 → HW/SW 선정 및 아키텍처 작성
- 조달 → 벤더사 선정·발주(2~3주 소요)
- 구축 → 하드웨어 설치, 소프트웨어 설정, 테스트
- 운영 → 모니터링, 보안 대응, 백업, 유지보수, 인력 관리.
IT 리소스 요구량
- 결핍: 리소스 제공량이 서비스 요구량보다 부족 → 서비스 지연/중단
- 잉여: 리소스가 요구량보다 초과 → 유휴 자원 발생
- 이상적 제공량: 피크타임 수요를 고려하여 균형 있게 설계
비용 구조
- 직접 비용 (Hard cost)
- IT 장비 또는 장비 도입을 하기 위한 외주 비용
-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장치, 보안장비 등
- 시설관리(항온·항습·전력), 백업, 보안, 네트워크 관리 등
- IT 장비 또는 장비 도입을 하기 위한 외주 비용
- 간접 비용 (Soft cost)
- IT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지비용 및 기회비용
- 유지보수, 인건비, 교육비 등
- IT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지비용 및 기회비용
2. 클라우드 기반 시스템 구축
(1) 온프레미스 vs 클라우드 단계 비교
- 온프레미스: 요구분석 → 설계 → 조달 → 구축 → 운영.
- 클라우드: 조달·구축·운영 통합 (CSP가 원스톱 제공).
(2) SLA (Service Level Agreement)
- IT 리소스를 대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수준을 정량화 하여 명확하게 제시하고,
미달하는 경우 손해 배상하도록 하는 서비스 품질 보장 계약- CSP가 제공할 서비스 품질(가용성, 응답속도 등)을 정량적으로 제시.
- 미달 시 손해 배상 조건 포함
(3) 비용 구조
- CapEx (자본 지출)
- 물리적 인프라 초기 투자비용
- 시간이 지나며 감가상각 처리, 납입 고지서에 비용을 공제하는 지출 방식
- OpEx (운영 지출)
- 사용량 기반 과금
- 초기 비용 없이 사용하는 서비스 또는 렌탈 제품에 대한 지불 방식
- 클라우드는 CapEx → OpEx 전환으로 비용 유연성 확보
3.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 방식
(1) 서비스 모델
-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HW 리소스 제공 (예: AWS EC2, Azure VM).
- 사례: Netflix → 자체 스트리밍 기술을 AWS IaaS 환경에서 운영
- PaaS (Platform as a Service)
- HW + OS + 개발도구 제공
- 사례: Google App Engine, 포켓몬 게임(PostgreSQL 기반 DB 관리)
- SaaS (Software as a Service)
- HW + OS + 애플리케이션 제공
- 사례: Google Workspace, Notion, Replit
(2) 배포 모델
- 퍼블릭 클라우드: 다수 사용자 공유, CSP가 관리 (AWS, GCP, Azure).
- 프라이빗 클라우드: 단일 조직 전용, 보안성 ↑.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2개 이상의 퍼블릭 + 프라이빗 혼합
- 멀티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및 서비스를 분산시키기 위해 2개 이상의 퍼블릭 클라우드, 2개 이상의 프라이빗 클라우드, 퍼블릭와 프라이빗 클라우드의 조합 등 여러 클라우드의 조합을 활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
- 커뮤니티 클라우드: 유사 목적 조직 공동 이용 (예: 금융권).
- 멀티 클라우드: 여러 퍼블릭·프라이빗 조합 활용 → 특정 벤더 종속성 완화
728x90
'방송대 컴퓨터과학과 > 클라우드컴퓨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송대 클라우드컴퓨팅 - 3강. 클라우드 컴퓨팅의 특징 (0) | 2025.09.24 |
---|---|
방송대 클라우드컴퓨팅 - 1강.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해 (0) | 2025.09.24 |